사업안내
사업소개
개념
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
추진배경
4차 산업혁명과 기술 진보에 따른 교육·연구의 변화
과학기술 발전과 사회·경제적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4차 산업혁명* 은 학제간 교육과 융·복합 연구에 기반한 창의적·혁신적 인재 요구
*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21세기 출현한 유비쿼터스 모바일 인터넷(ubiquitous and mobile internet), 더 저렴하고 작고 강력해진 센서,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산업혁명(세계경제포럼, ‘16)
고급 연구개발인력에 대한 지속적 수요 증가
저출산·고령화*로 인한 학력인구·생산가능인구 감소, 경제 성장세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, 고급 연구개발인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
* 합계출산율, 출생아 수(명): (‘00) 1.48,
64만 → (‘10) 1.23, 47만 → (‘18) 0.98, 33만
※ 2013-2022년 사이 이·공학박사의 공급부족은
12,000명이 넘을 것(국회입법조사처, ‘15.3)
지식 창출자로서의 연구중심대학 역할 확대
세계적으로 연구중심대학은 학자적 관심에서 나아가 지역사회, 국가, 글로벌 차원의 문제 해결 역할 담당
※ 美 Seattle과 University of Washington, New York City와 Cornell University는 협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, 창업 활성화 등 지역 역량 강화 및 혁신에 기여
연구의 질에 따른 대학원 교육 및 연구 지원
주요 국가의 대학 연구지원 및 대학원 인력양성사업은 연구성과 평가 시 논문 등 대표적인 연구업적의 질을 중점적으로 평가
※ (독일, Excellence Strategy) 신청 사업단별 대표논문 25편의 질에 대해 심사하며, 참여교수 당 10편까지 논문 목록을 제출하도록 하여 연구성과 평가
사업기간 : 2020.09.01~2027.08.31(총 7년)
미래인재 양성사업 | 혁신인재 양성사업 | 대학원 혁신 |
---|---|---|
기초 및 핵심 학문분야 연구역량 제고 | 혁신 성장 선도 신산업* 및 산업·사회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연구인력 양성 * 8대 핵심선도산업(관계부처 합동, ‘17.11), 13대 혁신성장동력분야(관계부처 합동, ‘17.12) |
대학원 본부 중심의 체질 개선 |
지원규모 : ‘20년, 578개 교육연구단(팀)
유형 | 지원방향 | 중점 지원분야 |
---|---|---|
미래인재양성사업 |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등 핵심 학문분야 연구역량 제고 및 학문후속세대 양성 | 과학기술, 인문사회, 중점 응용 분야 등 전 분야 |
혁신인재양성사업 | 혁신성장 선도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고, 산업문제 및 사회문제 해결을 선도할 융복합형 연구인력 양성 | 신산업 분야, 산업·사회 문제해결 분야 |
대학원혁신 | 대학원 차원의 제도개혁 비용을 지원,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방향성 수립 및 체제 구축 | 연구중심대학을 위한 대학 내 체제 개편, 대학원 교육 개선, 연구 환경 및 질 개선, 대학원 국제 경쟁력 강화 등 |
교육연구단 지원 상한액과 예산편성기준 범위 내에서 교육연구단 특성과 전략에 맞게 예산 편성 가능
QS 대학평가 100위권: 5교(’19) → 7교(’27), 200위권: 7교(’19) → 10교(’27)
예산 편성기준
미래인재 양성사업의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은 전체 사업비의 60% 이상(인문사회, 의·치·한의학 분야, 사업팀은 50% 이상)되도록 편성
혁신인재 양성사업의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은 전체 사업비의 60% 이상(산업·사회문제 해결 분야는 50% 이상)되도록 편성
교육연구단 운영비는 전체 사업비의 10% 이내 또는 5000만원 이내가 되도록 평성
연구장학금 지원액* 기준은 모든 유형에 동일하게 적용
* 석사 월 70만원, 박사 월 130만원, 박사수료생 월 100만원, 신진연구인력 월 300만원 기준
대학원 혁신지원비는 각 비목별 편성 기준을 적용(4단계 BK21 사업 관리 운영 지침 별표5 참고)
미래인재 양성사업 | 혁신인재 양성사업 | 대학원 혁신지원비 |
---|---|---|
- 대학원생 연구장학금
-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- 산학협력전담인력 인건비 - 교육과정 개발비 - 연구활동 및 산학협력활동 지원비 - 국제화경비 - 교육연구단 운영비 - 간접비 (2%이내) |
- 대학원생 장학금
-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- 산학협력전담인력 인건비 - 교육과정 개발비 - 연구활동 및 산학협력활동 지원비 - 국제화경비 - 교육연구단 운영비 - 간접비 (2%이내) |
- 인건비
- 국제화경비 - 교육·연구 프로그램 개발·운영비 - 교육·연구 환경 개선비(시설비) - 연구장비 및 기자재 구입·운영비 - 기타사업운영비 |
※ 장학금을 지원 받는 지원대학원생 수는 전체 참여대학원생의 70% 이내의 범위에서 지원
(인문사회 및 교육연구팀은 예산 범위 내에서 선발하여 지원)
1. 사업 유형별 평가 차별화
미래인재 양성사업은 교육·연구 분야의 실적 및 계획을 평가하여 분야별 우수 연구인력 양성
혁신인재 양성사업은 융·복합 연구 및 산학협력에 중점을 두되, 계획중심 평가로 실험적·혁신적 교육연구단의 신청 유도
대학원 혁신은 대학원 중심 학사제도 구축, 산학협력 플랫폼 구축 등 본부 차원의 대학원 교육·연구 지원 체계 중점 평가
2. 대학원 교육역량 평가 강화
대학원 교육 체질 개선을 통한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원 교육과정 등 인력 양성 제도 마련 및 운영 유도
대학원 교육과정의 수월성 제고 및 대학원생 역량·경력 개발 지원, 대학원생 권익 보장 시스템 구축 등 평가
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사회 이해 및 한국어 능력 제고, 학업 후 학국 정착 등 지원 프로그램 운영 평가
3. 연구성과 평가 개선
연구의 질적 성과 제고 및 도전적·장기적 연구 유도를 위해 연구성과에 대한 질적 평가 확대
교수(교수 1인당 3건, 인문사회·수학·통계는 2건) 및 졸업생의 대표 연구실적에 대한 우수성, 분야 내 기여도 등을 평가하는 정성평가(70%) 도입
참여교수의 5년간 전체 논문에 대한 정량평가(30%) 실시
유형 | 내용 |
---|---|
과학기술 | 1인당 환산 보정 피인용수 합 +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피인용수 (10%) 1인당 환산논문 편수 + 환산보정 IF 및 ES (20%) |
인문사회 | 1인당 환산 논문 편수 (30%) |
※ 졸업생은 과기분야는 대표논문 1건, 인문사회는 전체 논문에 대한 정량평가(70%) 실시
1. 공통
매년 대학 및 교육연구단(팀)은 일정 필수지표를 포함한자율적 자체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
필요에 따라 사업관리기관에서 교육연구단(팀)에 컨설팅 실시
* 중간평가 시 연구성과에 대한 질적평가 100% 실시 (3년 예고)
2. 미래인재 양성사업
2차례의 중간평가 및 종합평가 실시
1차 중간평가(`23)로 하위 30% 교육연구단(팀) 탈락 및 재선정
2차 중간평가(`26)로 하위 20% 교육연구단(팀) 사업비 조정
3. 혁신인재 양성사업
신설 사업으로 초기 이행사항 점검을 거쳐 중간평가 및 종합평가 실시
이행사항 점검(`22), 불이행 시 탈락
* 탈락 교육연구단 예산은 미래인재 양성사업 또는 혁신인재 양성사업 교육연구단 선정에 사용하는 방안 검토
중간평가(`24)로 하위 30% 교육연구단 탈락 및 재선정
* 학문 및 산업 동향에 따라 4단계 BK21 사업 시행 이후 필요성이 급증하거나 사회적으로 인력양성이 시급한 분야는 중간평가 시 추가 조정 가능
4. 대학원 혁신지원비
매년 연차 평가를 통해 20% 범위 내에서 대학원 혁신지원비 조정